상담심리

중독상담이론(2)

月食 2023. 10. 23. 15:47
반응형
SMALL

(3) 세부 치료적 접근

현존재 분석

- 현존재 분석(daseins analysis)은 실존철학가 Heidegger의 후기 철학사상 동양 사상, 정신분석의 치료기법을 바탕으로 Ludwig Binswanger, Medard Boss등에 의해 정립된 치료법이다.

-정신분석의 치료 방법들에서 인간 정신을 기계론적, 환원론적으로 바라보고, 내부세계와 외부세계를 구분하는 것을 비판하는데, 현존재 분석에서 바라보는 인간은 세상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존재를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가 경험하는 세계(자연세계, 사회적 세계, 개인적 세계, 영적 세계 등)는 세상을 향해 폐쇄성에서 개방성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것에 있다.

-폐쇄성이란 내담자가 세상과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다른 사람을 믿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호의와 관심에는 폐쇄적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악의와 적의에는 개방적이어서 타인과 세상에 대해 더욱 편협해지고 폐쇄적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로고 테라피

- 로고 테라피(Logo Therapy, 의미치료)1929Viktor E, Frankl이 발표 했으며, Max Scheler의 현상학, Kierkegaard의 실존철학, 개인적 경험과 종교적 신념에서 영향을 받아 이론을 정립하였다.

- Frankl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 동기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고, 치료 목적 은 내담자가 겪는 공허함과 절망을 극복하고 삶의 목적성과 방향을 발견하 도록 돕는 것이다. 삶의 의미가 창조가 아닌 발견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Frankl은 인간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세 가지 수단

첫 번째는 스스로 어떤 창조적 행위를 함으로써,

두 번째는 누군가를 만나거나 어떤 일을 경험함으로써,

세 번째는 불가피한 역경과 고통을 마주할 때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 특히, 세 번째와 관련하여 Frankl에 따르면, 인간이 모든 자유를 박탈당할 라도 그 상황에서 어떤 태도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자유는 빼앗기지

않기 때문에 가장 가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 호소 기법,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역설적 의도, 탈숙고 등의 기법을 사용. - 목회상담, 진로상담, 간호,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영국 실존분석

- 실존분석은 Emmy van Deurzen이 영국에서 처음으로 실존치료 훈련과정, 실존분석협회를 설립.

- 공통적으로는 치료자-내담자 간의 평등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 정신기능의 건강한 상태와 병리적 상태를 구분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 내담자들의 문제를 삶에서 마주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들로 간주하였다.

- 치료는 분석, 해석, 진단보다는 내담자의 삶의 경험들을 묘사하였다.

- 내담자만의 고유한 존재 방식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간제한적 실존치료

- 시간제한적 실존치료 또는 단기 실존치료이다.

- 장기적으로 삶의 문제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구하는 여타의 실존치료적 접근과

다르게 14회기를 상담의 기본단위이다.

- 제한된 시간 내에서 적극적으로 실존적 이슈(존재의 유한성과 일시정, 불확 실성 등)에 직면하고 치료 밖에서 건설적으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목표이다.

- 특징: 치료적 관계에서의 시간적 제약이 내담자로 하여금 그들에게 시간이 영원히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 시간적 제한: 치료자의 입장에서는 치료적 성과를 내기 위해 내담자를 재촉 하여 내담자가 충분히 삶과 이슈에 대해 고민해 볼 기회를 앗아갈 수 있는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 단기 실존치료: 내담자의 한 가지 특정 이슈에 집중하지 않으며 여러 실존

주제(불확실성, 대인관계, 일시성, 존재의 영역들, 실존적 불안 등)를 구조화

 

(4) 인간중심치료

-초기 정신분석적 접근: 지시적인 상담기법 비지시적 상담내담자중심치료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로 발전.

- 인간중심치료: 상담자가 취해야 할 태도 및 상담의 원리 외에는 특별한 상담 기술이나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장 어려운 형식의 심리치료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하는데 이는 치료자들이 특별한 치료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단순히 내담자와 함께 있어 주는 것만으로 심리치료 및 변화를 이끌어 가야 하기 때문이다.

- 다른 특징: 다른 어떤 상담 및 심리치료 방법보다도 내담자에게 덜 위협적이고, 내담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기술하였다.

 

(5) 인간중심치료의 인간 본성과 성격에 대한 기본 가정

유기체적 가치화 과정과 긍정적 존중

- Rogers(1942, 1951, 1967)는 인간은 유기체로서 자기에게 유익한 자극과 해가 되는 자극을 구분한다.

-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험에 대한 평가과정을 유기체적인 가치화 과정(organismic valuing process)이라고 부른다.

- 인간은 능동적으로 자신의 세계를 확장하며, 어려서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존중을 받고픈 욕구(needs for positive regards)를 갖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 다른 사람이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조건적 가치부여와 왜곡된 자아개념의 발달

-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 존중은 무조건적이지 않으며 종종 존중을 주는 사람은 아동에게 어떤 가치 조건을 요구한다.

- 아동은 존중을 얻기 위해 자신의 준거보다 타인의 준거를 사용하여 자신의 경험을 평가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재통합과 자기실현

- 인간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경험할수록 자기존중이 높아져 내면화된

가치조건으로 인해 왜곡된 자아개념을 수정할 수 있다.

-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갈등 없이 신뢰하게 되어 본래의 유기체적 가치화 과정을 회복하게 된다.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 Rogers(1962)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경험에 개방적,(설사 자아개념과 동떨어진 경험일지라도) 능동적, 창의적이다.

- 현실에 충실한 삶을 살며 자신의 삶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 내적 자유와 경험과 자기개념에서 일치성을 경험하고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가진다.

 

(6) 인간중심치료의 상담목표

-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 가정을 인본주의 심리학과 공유한다.

- 인간은 유기체적 존재로서 자기 자신의 성장을 추구하는 경향.

- 목표: 내담자가 스스로 자기 내면을 이해, 자신의 문제 파악, 현실에 대한 왜곡된 지각을 수정한다.

- 내담자의 유기체적 경험과 자기개념 간의 일치성을 회복한 뒤 궁극적으로 자기 성장 및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 내담자에 대한 관심과 존중, 수용을 통해 협력적, 긍정적인 치료적 관계를 형성

반응형
LIST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행동 치료  (0) 2024.04.02
중독상담이론(1)  (1) 2023.09.05
(분석심리학)상담의 1단계  (0) 2023.08.24
중독치료(7~12)  (0) 2023.08.15
중독치료 12단계 (1~6)  (0) 202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