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

정신분석상담(2)

月食 2023. 5. 18. 11:18
반응형
SMALL

2. 정신분석상담

-

3. 상담 과정과 기법

1) 상담과정

(1) 정신분석상담의 목표

내담자는 자신의 내면세계에 있는 무의식적 갈등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 어야 함.

정신분석상담의 결과, 내담자는 자신을 좀 더 잘 알고 신뢰하며(authentic), 실재적(r eal)으로 느낄 수 있어야 함.

다른 사람들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이해함으로써 내담자는 가족, 친구,동료들과 좀 더 개선된 관계를 가질 수 있어야 함.

치료가 끝난 후 내담자는 실제발생한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함.

 

(2) 상담자의 역할

- 내담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경청과 해석을 해야함.

- 내담자의 내부세계에 대한 상담자의 이해를 촉진시킴.

- 내담자의 저항에 특히 주목, 경청하고 해석할 시기를 결정.

- 해석의 주된 기능은 무의식적 자료를 파헤쳐서 치료과정을 촉진시키는 것.

- 내담자의 말의 차이나 불일치 감지, 꿈과 자유연상의 의미를 추론, 자신에 대한 내담자 의 느낌을 잘 감지해야 함.

- 내담자는 상담과정에서 전이라고 하여 과거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에게서 느꼈던 감정 을 무의식적으로 상담자에게 투사하게 됨.

- 정신분석상담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전이가 일어나도록 만들고, 해석을 통하여 전 이를 좌절시킴으로써 내담자가 무의식적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통찰하도록 조력함.

- 자유연상을 통하여 저항이나 갈등 상황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

- 내담자의 변화는 상담자가 내린 해석의 정확성 보다 내담자의 변화 준비성과 연관이 많고, 상담작 너무 급하게 재촉하거나 시기에 맞지 않는 해석을 하면 오히려 상담에 역효 과를 가져 올 수 있음.

- 상담자는 내담자의 낡은 행동양식을 재작업하면서 변화가 일어나도록 돕고, 내담자가 새 로운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완급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함

 

 

 

(3)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 상담자와 내담자의 치료적 관계는 전이’.

- 전이 현상의 해소가 정신분석상담의 핵심.

- 내담자의 어린시절의 경험과 갈등들이 무의식속에서 시작.

- 내담자는 여러 가지 상반되는 감정에 대한 갈등을 회상하게 되고, 감정은 상담자를 대 상으로 재경험하게 되는데 이때 전이 발생.

- 전이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훈습(working-through)’이라는 장기간의 가정 필요.

-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무의식적 심리역동에에 대한 통찰을 얻음.

-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느끼고 내담자를 싫어하거나 좋아하게 되는 경 우를 역전이라고 함.

 

*출처: 양명숙 외 (2019). 상담이론과 실제(2).학지사

 
반응형
LIST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심리학과 상담(1)  (2) 2023.05.27
정신분석상담(3)  (2) 2023.05.22
정신분석상담(1)  (0) 2023.05.08
상담 이론과 실제(3)  (0) 2023.05.07
상담 이론과 실제(2)  (0) 20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