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속담 3

비와 관련된 속담과 명언

비가 내리는 날, 속삭이는 지혜: 속담과 명언 속에 담긴 비의 의미촉촉한 감성을 자극하는 빗소리, 삶을 적시는 지혜창밖을 내다보면 빗줄기가 세차게 내리고 있습니다. 빗소리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마음 한구석이 차분해지고, 어딘가 모르게 쓸쓸한 감정이 밀려오기도 합니다. 오늘은 비가 내리는 날, 우리 곁을 맴도는 속담과 명언들을 통해 비가 지닌 다양한 의미를 함께 탐구해 보려 합니다.비, 삶의 거울을 비추다"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 고난과 역경을 겪은 후 더욱 강해지고 성장한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비가 내린 후 땅이 더욱 단단해지듯, 우리도 어려움을 이겨내면 더욱 단단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봄비는 한 번 내릴 때마다 따뜻해진다" : 봄비는 겨우내 얼어붙었던 대지를 녹이고 새 생명을 싹틔우는..

일상 2024.09.21

독서망양(讀書亡羊)

고사성어 讀 書 亡 羊 읽을 독 글 서 망할 망 양 양 독서망양의 뜻 독서망양(讀書亡羊) '글을 읽다가 양(羊)을 잃어버리다' 또는 '책을 읽다가 양(羊)을 잃어버리다' 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다른 일에 정신을 빼앗겨 중요한 일을 그르침을 비유하는 말이며 중요한 일을 하다가 다른 일을 그르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양을 잃는다는 망양(亡羊)이 들어간 성어는 제법 된다고 합니다. 양을 잃고 난 뒤 우리를 고친다는 망양보뢰(亡羊補牢), 갈림길이 많아 갈 바를 모르는 다기망양(多岐亡羊) 또는 망양지탄(亡羊之歎),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는 망양득우(亡羊得牛) 등이있습니다. 뭐....뜻들이 다 비슷비슷하네요. 어찌되건 뭐때문에 무엇을 잃는거니깐요. 독서망양의 유래 장자(莊子)의 변무편(駢拇篇) 중에서 나온..

가담항설(街談巷說)

고사성어 街 談 巷 說 거리 가 말씀 담 거리 항 말씀 설 가담항설의 뜻 가담항설(街談巷說) 가담항설의 거리 가(街)는 도시 번화가를 뜻합니다. 거리 항(巷)은 골목길을 뜻합니다. 거리에 도는 소문이라는 '가담'과 항간에 떠도는 말 '항설'을 합쳤으니, 일반 민중 사이에 떠도는 근거 없는 소리 소문을 강조한 사자성어입니다. 유언비어와 달리 사실을 전제(前提)한 것이라 풍설(風說), 풍문(風聞)과 비슷합니다. 같은 의미(意味)의 사자성어로 가담항의(街談巷議)가 있습니다. 한서 예문지에서는 소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가담항설의 유래 후한의 역사가 '반고'의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서 소설을 설명하다가 나온 사자성어입니다. 이야기는 한나라에는 민간에 떠도는 이야기 또는 민요와 같은 것을 수집하고..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