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

분석심리학과 상담(4)

月食 2023. 6. 22. 04:57
반응형
SMALL

3. 분석심리학과 상담

 

4) 아니마/ 아니무스

융은 집단 무의식 영역에 있는 내적인 인격을 영혼 아니마 아니무스라 불렀음.

페르소나가 사회적응을 위한 외적 인격이라면,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내적인격임,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 성향의 정신원리, 즉 아니마가 있음. 여성의 무의식에는 반대로 남성적 성향의 정신원리, 즉 아니무스가 있음. 남성의 의식적 인격은 주로 사고기능가 연계된 로고스로 대변됨. 무의식의 인격인 아니마는 감정기능인 에로스로 특징지음. 남성의 아니마는 꿈이나 환상에서 주로 여성 이미지로, 여성의 아니무스는 대체로 남성이미지로 나타남. 남성의 아니마는 여성에게 투사, 여성의 아니무스는 남성에게 투사.

 

남성이 매력적인 여성에게 순간적으로 사로잡혀 이성을 잃는 현상은 남성의 아니마가 여성에게 투사된 상태를 보여줌, 아니마가 일단 의식화 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여 개성화를 위한 안내자가 됨. 원형으로서의 아니마는 남성의 삶속에서 다양하고도 광법위하게 사고, 태도, 정서 등에 영향을 미침.

 

아니마는 남성의 정신안에 있는 원형적이면서 동시에 개인적인 콤플렉스를 보여줌. 처음에는 개인적 어머니와 동일시 되다가 성장과정에서 다른 여성(, 누이, 연인, 여신등)으로 경험. 아니무스도 아버지로부터 경험, 아니마/아니무스는 종종 그 대극인 사회적 인격을 대변하는 페르소나를 통해 자신의 정체를 간접적으로 드러냄. 일단 부정적으로 경험. 예를 들면, 한 여성 교수가 제자의 논문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저런 저질적인 논문을 쓴 학생은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격한 말을 하면서 잘못된 부분을 조목조목 따지듯이 지적했다면 그녀는 그 순간 아니무스에 사로잡힌 상태로 볼수 있음. 아니무스는 이성에게 투사되어 환상적인 사랑의 감정을 드러내기로 하지만, 때로는 지나칠 정도로 구조화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대인관계를 불편하게 하기도 함.

 

정신에너지인 리비도가 무의식의 포로가 될 때 아니무스가 활성화됨. 아니마/아니무는 밝은면과 어두운 면을 지님.

원초적 감정인 아니마/아니무스는 압도적인 감정상태로 경험되기 때문에 현실 속에서 일단 부정적으로 경험, 그러나 부정적인 아니마/아니무스가 의식에 통합되면 그것은 긍정적인 원형으로 변화되어 정신의 통합, 즉 개성화에 기여함.

 

5) 자기

융은 자아가 자기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개성화라고 부름. 자기가 전체 정신을 대변한 다면, 자아는 의식을 대변. 융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는 존재론적 개념이 아님. 의식과 무의시그이 개념과 마찬가지로 객관적 사물처럼 있다혹은 없다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적 개념으로 인식

 

정신은 비합리적인 역동성에 근거. 경험적으로 자기는 꿈, 신화, 환상 속에서 초월적 인격, 예를 들면, , 영웅, 예언자, 구원자등으로 나타남 자기는 만다라의 경우처럼 독특한 신성 성, 즉 선험적인 정서 가치를 지님. 의식의 영역에서 비교적 자유의지를 행사 할 수 있는 자아는 전체 정신을 대변하는 자기에 종속됨. 정신의 일부인 자아가 전체 정신인 자기를 인식하는 과정이 곧 개성화의 과정이자 심리치료의 목표임.

 

개성화는 개인이 보편적 집단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개성화의 목표는 한편으로 페르소나의 거짓도니 포장으로부터 자아를 해방시키는 작업. 원초적 상(감정)들의 영향력 으로부터 자기를 해방시키는 것임. 개인주의가 자기 중심적이며 이기적 자아를 대변한다면 개성화는 개인이 보편적 집단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 자아가 무의식에 매료되면 본능적인 힘을 추종함으로써 자기와 동일시 하게 됨. 개성화는 자아-자기 동일시로부터 벗어나 부분으로서의 자아가 전체인 자기를 알아가는 과정.

 

 

 

*출처: 양명숙 외 (2019). 상담이론과 실제(2).학지사

 

 

반응형
LIST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치료 12단계 (1~6)  (0) 2023.07.04
중독치료12단계  (0) 2023.06.24
분석심리학과 상담(3)  (0) 2023.06.22
분석심리학과 상담(2)  (2) 2023.06.04
분석심리학과 상담(1)  (2) 2023.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