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분석심리학과 상담 2. 인간관 - 융에게 있어 자아는 인격 전체를 대표하는 자기의 일부에 해당 - 자아는 의식뿐만 아니라 무의식의 영역까지도 포괄하고 있는 자기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수립할 때 건강한 인식의 주체가 됨 - 자아는 현실 속에서 경험하는 의식적 내용뿐만 아니라 꿈과 환상등을 포함한 무의식의 내 용까지도 인식할 수 있을 때 전체적 인격에 동참할 수 있기 때문 - 인간은 하나이 단일체로 구성되었다기 보다는 다양한 인격적 요소로 형성 - 인간을 대체로 영, 혼, 육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여겼던 고대인의 사상은 종교, 문화적 영 역을 비롯한 현대인의 인간 이해에도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융의 인간관은 한마디로 부분과 전체의 역동적 체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개인과 집 단의 관계로 ..